국립교통재활병원 뇌손상재활의학과는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위하여 재활의학과·정신과· 신경외과·내과 전문 의사, 뇌손상 재활치료팀(물리치료사·작업치료사·언어재활사·임상심리사), 뇌손상 재활 간호팀이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전문 재활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진료과소개
의료진소개
진료시간표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외상성 뇌손상은 충격 부위의 국소적인 뇌손상뿐 아니라, 뇌의 전체 영역에 걸친 전반적인 손상(다발성·미만성 손상)을 함께 초래하여 신체·언어장애 외에도 다양한 인지·행동·성격 장애를 함께 초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외상성 뇌손상의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추락, 상해, 스포츠손상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교통사고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성 뇌손상의 경우 골절·말초신경손상·내부장기손상 등 다른 종류의 손상과 동반된 다발성 손상(Polytrauma)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국가 경제활동에서 왕성한 활동기에 있는 성인들에게 급작스러운 기능장애를 가져오게 되므로 체계적인 포괄적 전문재활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환자 맞춤형 재활치료 서비스
외상성 뇌손상은 경도의 뇌진탕에서부터 의식저하를 동반한 중증의 뇌손상까지 매우 다양한 증상을 보이므로 환자에 따라 개별화된 전문 재활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모든 입원 환자는 전담 의사, 전담 치료사, 전담간호사를 통해 자신에게 꼭 맞는 진료·상담·치료·간호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전인적 다학제 재활의료 서비스
매우 다양한 기능장애와 다발성 손상이 특징적인 교통사고 뇌손상 환자를 위하여 재활의학과 전문의사를 중심으로 정신과·신경외과·내과 전문의사, 뇌손상 재활치료팀, 뇌손상 재활간호팀, 사회복지사, 영양사, 임상사목자들이 함께 치료과정에 참여하게 되며, 치료기간 동안 신체적·정신적·영적 회복을 위한 전인적인 포괄적 재활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환자·보호자 교육서비스 및 사회복귀 지원 서비스
뇌손상 재활센터에서는 환자와 보호자·간병인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가족회의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재가 적응훈련을 비롯하여 다양한 치료적 사회경제적 지원 상담 등 사회복귀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장애 재활
인지·행동·성격 장애가 동반된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은 입원진료·외래진료 구분 없이 재활의학과, 정신과, 신경외과 전문 의사와 임상심리사, 작업치료사, 재활 간호사로 구성된 인지·행동장애 클리닉에서 전문적인 다학제 평가·진단·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Lee, H. Y., Park, J. H., Lee, H., Kim, T. W., & Yoo, S. D. (2020). Does Hip Bone Density Differ between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and Its Relationship with Physical Impairment. Journal of Bone Metabolism, 27(4), 237-246.
Lee Y, Kim JS, Hong BY, Park JG, Lee KB,
Kim TW, Lim SH. Determinant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Cerebral Infarct. Brain Neurorehabil. 2020;13(1):e4.
Lee HY, Lee JY,
Kim TW. Does the Korean Rehabilitation Patient Grouping (KRPG) for Acquired Brain Injury and Related Functional Status Reflect the Medical Expense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Brain Neurorehabil. 2019;12(2):e19.
HK Kim, JH Leigh, YS Lee, Y Choi, Y Kim, JE Kim, WS Cho, HG Seo, BM Oh, Decreasing Incidence and Mortality in Traumatic Brain Injury in Korea, 2008–2017: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0 Aug 26;17(17):6197. DOI: 10.3390/ijerph17176197. PMID: 32859061.
JE Lee, SB Yoo, JH Leigh. Transcultural validation of the return-to-work self-efficacy scale in Korean patients with work-related injuries. BMC Public Health. 2020 Jun 3;20(1):844. doi: 10.1186/s12889-020-08979-w. PMID: 32493252
JS Ro, JH Leigh, I Jeon, MS Bang. Trends in burden of work-related upper limb amputation in South Korea, 2004-2013: a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 BMJ Open. 2019 Nov 19;9(11):e032793. doi: 10.1136/bmjopen-2019-032793. PMID: 31748310.
Park J, Oh HM, Park HJ, Cho AR, Lee DW, Jang JH, Jang DH. Usefulness of comprehensive targeted multigene panel sequencing for neuromuscular disorders in Korean patients. Mol Genet Genomic Med. 2019Oct;7(10) :e00947. (공동1저자)
Chung YC, Lim JH, Oh HM, Kim HW, Kim MY, Kim EN, Kim Y, Chang YS, Kim HW, Park CW. Calcimimetic restores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by ameliorating apoptosis and improving autophagy. CellDeathDis.2018Nov26;9(12):1163
Oh HM, Park GY, Choi YM, Koo HJ, Jang Y, Im S. The Effects of Botulinum Toxin Injectionson Plantar Flexor Spasticity in Different Phases Afte rStroke: A Secondary Analysis From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PMR.2018Aug;10(8):789-797
Lee, H. Y., Song, S. Y., Hwang, J., Baek, A., Baek, D., Kim, S. H., ... & Cho, S. R. (2023). Very early environmental enrichment protects against apoptosis and improves functional recovery from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FRONTIERS IN MOLECULAR NEUROSCIENCE, Vol.15 : 1019173, 2023-02
Lee, H. Y., Hyun, S. E., & Oh, B. M. (2022). Rehabilitation for Impaired Attention in the Acute and Post-Acute Phas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Narrative Review. Korean Journal of Neurotrauma, 19.
Lee, H. Y., & Oh, B. M. (2022). Nutritio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Narrative Review. Brain & Neurorehabilitation, 15(1).
Co-author, 심장재활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Cardiac Rehabilitation in Korea, Kim C et al 2019
Jung H.,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lymphedema. Clinical Lymphology and Lymph 2017;2(2):31-35.
Jung H. (2016). Rehabilitation for Foot and Ankle disorders. In HG Jung (Ed), Foot and Ankle Disorders (1sted.,pp.585-607).Berlin,Germany:Springer-Verlag
수련
미국 Mayo clinic 재활의학과 레지던트
미국 Mayo clinic 인턴
부산대학교병원 인턴